당진 행복지표(안) 체계화 방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홍원표 | - |
dc.contributor.other | 송영현 | - |
dc.contributor.other | 강수현 | - |
dc.date.accessioned | 2019-12-19T16:31:52Z | - |
dc.date.available | 2019-12-19T16:31:52Z | - |
dc.date.issued | 2019 | - |
dc.identifier.citation | 비도서(pdf only) | - |
dc.identifier.other | 1019CO013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70995&seq=1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oak.cni.re.kr//handle/2016.oak/5894 | - |
dc.description.abstract | 1) 과업배경과 목적 >> 당진시는 미래발전계획을 시민참여형 방식으로 수립하고 있음 ▸ 당진시 미래발전계획은 ‘시군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의 일환으로 비법정, 중장기,종합계획이자 전략계획임 ∙ 시군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은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시군이 자율적으로 수립하는 비법정계획으로, 지역의 향후 10년간(2020-2030)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중장기계획 ∙ 당진시의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부문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당진시의 미래상 실현을 위해 중점 추진사항을 제시하여 타 계획에 지침을 제공하는 전략계획 ▸ 당진시는 미래발전계획을 공무원과 시민이 주체가 되어 수립하는 시민참여형 계획으로서 수립하고 있음 ∙ 전문 연구기관에 용역을 위탁하는 대신 공무원, 시민, 전문가 그룹 등이 협업하여 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 이전 계획에서는 전문연구기관에 전적으로 의뢰하여 종합발전계획(2013-2020)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나, 내용과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러한 구도하에서 전문가그룹은 전문가적 식견과 지식을 바탕으로 공무원과 시민의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음 >> 미래발전계획의 체계적 수립을 위한 전문가그룹의 지원 및 컨설팅 필요 ▸ 미래발전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핵심 내용별로 전문적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에 전문가그룹의 참여를 필요로 함 이후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과업 개요 1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3 2. 과업의 범위 5 3. 과업의 추진과정 7 4. 과업 추진 체계 9 Ⅱ. 당진시 발전지표(안)의 성격검토 10 1. 미래발전계획수립에서 발전지표(안)의 용도 11 1) 미래발전계획 수립 과정 개요 11 2) 발전지표(안)의 다중성 12 3) 발전지표(안)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4 2. 발전지표(안)의 구조와 특징 20 3. 발전지표(안)의 활용성 제고 방향 23 1) 발전지표(안)의 전체성 개선 23 2) 발전지표(안)의 비교가능성 제고 24 Ⅲ. 국내외 주요 지역지표 사례 검토 26 1. 지표체계 구성의 트렌드 27 1) 국내외 주요 지역지표를 통한 트렌드 분석 27 2. 주요 지역지표 사례 개요 33 1) OECD지역웰빙지수 사례 33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역발전지수 사례 35 3) (사)한국공공자치연구소 지역경쟁력지수 사례 37 4) 시군구 자체 지표사례: 부평행복실감지표 39 3. 주요 지역지표 비교분석 42 1) 비교 분석틀 42 2) 결과 및 시사점 42 Ⅳ. 당진시 발전지표(안)의 체계화 방향 45 1. 당진시 미래예측의 객관화 45 1) 예측가능성이 높은 미래상 제시 45 2) 전문가그룹을 활용한 시민들이 바라는 미래상 보완 49 2. 당진시 미래사업 발굴의 내실화 57 1) 하향식 접근과 상향식 접근의 결합 57 2) 행정적 접근과 시민참여의 결합 65 3. 당진시 발전지표(안)의 전체성 개선 68 1) 시민 체감형 영역 및 분야 설정 68 2) 분야의 다층적 균형과 가치의 명시화 71 4. 당진시 발전지표(안)의 비교가능성 제고 73 1) 비교 지표체계의 선정 74 2) 측정지표 내 대표지표와 보조지표의 구분 75 3) 측정지표의 선정 기준 결정과 운용 76 4) 주요 지역 지수를 통한 당진시 현실 진단 79 5) 미래발전계획 정기 모니터링 체계 확립 86 [부록] 90 부록1: 전문가그룹 대상 1차, 2차 당진시 미래예측 자문지 90 부록2: 전문가그룹 당진시 미래예측 매트릭스 103 부록3: 당진시 발굴 사업(안) 평가결과 표 104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 | 당진시 | - |
dc.subject | 행복지표 | - |
dc.subject | 체계화 | - |
dc.subject.other | 시군협력 | - |
dc.title | 당진 행복지표(안) 체계화 방향 | - |
dc.type | 연구보고서 | - |
dc.date.term | 20190701 ~ 20191030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9-07-10 | - |
dc.date.modifydate | 2019-12-10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s://www.cni.re.kr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