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원철-
dc.contributor.other박철희-
dc.contributor.other정민영-
dc.date.accessioned2017-08-19T16:31:28Z-
dc.date.available2017-08-19T16:31:2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citation040 충211 16-17-
dc.identifier.other1516JU003-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69572&seq=1ko_KR
dc.identifier.urihttp://oak.cni.re.kr//handle/2016.oak/4409-
dc.description.abstract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생활도로는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등이 일상생활에 이용하는 도로로 자동차의 통행보다는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권이 확보되어야 하는 도로이다. 과거부터 이동성・차량 중심의 교통정책이 교통문화로 정착되어 보행자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생활도로에서 교통사고 많이 발생하는 등 교통 안전성, 보행 쾌적성, 교통 접근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충남에서 발생한 생활도로 교통사고는 우리나라 교통안전의 심각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2015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총 232,03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중 53.3%에 해당되는 123,760건이 차도 폭 9m 미만의 생활도로에서 발생하였다. 전체 사망자 4,621명 중에서 56.0%에 해당되는 2,586명이 생활도로인 9m 미만의 도로에서 발생되어 생활도로 교통사고의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발생률)은 2.1명/100건을 기록하였다. 같은 해 충남에서는 9,42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고, 64.0%에 해당되는 6,029건이 생활도로에서 발생하였다. 382명의 사망자 중에서 생활도로에서만 64.1%에 해당되는 245명이 피해를 입었다. 충남 생활도로 교통사고 치사율은 4.1명/100건으로 전국 평균치인 2.1명/100건에 비해 약 1.95배 이상 높아 충남 생활도로 교통 안전도가 매우 취약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 생활도로 교통사고의 발생빈도와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목적 아래, 생활존 설정과 교통안전시설물 설치방안을 중심으로 차량 및 보행자의 교통안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충남 생활도로의 교통사고 발생특성과 심각도를 분석하고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을 제안한다.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공간적 범위 3 2) 시간적 범위 3 3) 내용적 범위 3 3. 연구의 흐름 4 제2장 관련 연구 및 정책 동향 5 1. 생활도로 정의 5 1) 생활권 5 2) 생활도로 7 2. 정책동향 및 개선사례 15 1) 국내 정책동향 및 개선사례 15 2) 국외 정책동향 및 개선사례 28 3. 시사점 34 제3장 충남 생활도로 교통사고 현황과 실태 35 1. 생활도로 교통사고 발생현황 35 1) 생활도로 교통사고 분석 전제조건 35 2) 생활도로 교통사고 발생현황 36 3) 생활도로 교통사고 발생원인 38 4) 생활도로 차대사람사고 발생유형 41 5) 생활도로 차종별 교통사고 발생현황 43 6) 시・군별 생활도로 교통사고 발생현황 44 2. 생활도로 실태 45 1) 보호구역(생활도로구역)으로 지정된 생활도로 실태 45 2)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생활도로 실태 49 3. 시사점 51 제4장 충남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 53 1. 교통안전 증진전략 및 고려사항 53 2. 생활존(존 30) 설정 및 명시방안 56 1) 생활존 설정 56 2) 생활존 경계부 명시방안 61 3. 차량속도 및 통과교통량 제어방안 63 1) 생활존 제한최고속도 설정 63 2) 교통규제 및 물리적 시설 적용방안 66 4. 보행자 교통안전 확보방안 78 1) 어린이통학로 노측대 확보 방안 78 2) 보행자 사각지대 시인성 확보방안 80 3) 횡단 보행자 안전의식 증진방안 81 4) 보행자 우선등(Belisha beacons) 설치 82 5) 대각선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 설치 83 5. 주민참여 및 관리체계 방안 84 1) 주민참여 84 2) 관계기관의 역할 및 조정 89 6. 투자재원 마련 및 활용방안 93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96 1. 결론 96 2. 연구 한계점 98 3. 정책 제언 99 참고 문헌 100-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생활도로-
dc.subject교통안전-
dc.subject.other전략과제-
dc.title충남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dc.type연구보고서-
dc.date.term20160101 ~ 20160831-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19-
dc.date.modifydate2017-08-19-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1797-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전략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