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맞춤형 농정혁신모델 구축방안 연구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기현-
dc.date.accessioned2017-08-18T16:31:42Z-
dc.date.available2017-08-18T16:31: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citation040 충211 14-34-
dc.identifier.other1514JU047-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26683&seq=1ko_KR
dc.identifier.urihttp://oak.cni.re.kr//handle/2016.oak/4331-
dc.description.abstract1. 필요성과 목적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충남 3농혁신정책의 새로운 과제로 대두된 “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혁신모델” 사업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2015년부터 시행되는 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혁신모델 사업은 농협을 혁신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행정의 파트너로서 인정하고 지역혁신의 주체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정책이다. 이러한 변화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농업환경 변화 측면에서 고령농의 증대에 따른 농가, 조합원 내부의 이질화현상의 가속화로 인하여 농협은 새로운 생산과 유통서비스 제공을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농협의 판매사업 혁신에 대한 요구도 시장에서 잘 파는 경쟁력있는 판매농협 구현 뿐만 아니라 로컬푸드 등 새로운 대안 유통창구를 마련하고 지역의 다양한 층위의 농가들에게 새로운 유통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요구들이 강화되고 있다. 둘째, 농촌환경 변화 측면에서 농촌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농협에 요구되는 서비스의 범위가 복지, 사회 서비스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도농간 삶의질 및 복지 격차의 증대, 면단위 행정체계의 변화, 과소화마을의 증대 등 다양한 농촌공간의 정주여건 개선에 대한 농협의 역할이 필요하다.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방법 4 제2장 환경변화와 지역농협의 현실, 그리고 대안 논의 현황 1. 농협과 지역을 둘러싼 환경 변화 6 2. 지역종합농협의 현실과 문제점 30 3. 지역종합농협 혁신 대안 구상 40 제3장 농협과 함께하는 지역혁신모델 1. 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혁신사업 비전과 전략 46 2. 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혁신사업 사업추진체계 55 3. 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혁신사업 중장기 로드맵 59 제4장 정책 사업 공모계획(안) 1. 기본 구상 및 방향 60 2. 세부 추진 계획 64 3. 계획수립시 유의사항 71 4. 2015년 지역역량강화사업 지원 프로그램(안) 75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및 제언 77 [부록]지역농협발전계획 양식 00농협 4개년 중장기 발전 계획 2015년~2018년 79 00시군 지역농업발전 4개년 계획 2015년~2018년 84 00농협 지역혁신모델 공모사업계획 87-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맞춤형-
dc.subject농정혁신-
dc.subject모델-
dc.subject.other전략과제-
dc.title농협과 함께 하는 지역맞춤형 농정혁신모델 구축방안 연구-
dc.type연구보고서-
dc.date.term20141030 ~ 20150228-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18-
dc.date.modifydate2017-08-18-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0864-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전략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