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농촌 주민 생활상 연구 - 수도작 평야지역 1개 마을을 중심으로 -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정,문정환-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citation040 충211 11-7-
dc.identifier.other1511JU011-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04044&seq=1ko_KR
dc.description.abstract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그동안 농촌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시행되어 왔고,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 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사업내용을 달리하며 새로운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산업화 초기단계인 1960-70년대 농촌개발은 식량증산과 저곡가 유지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 주를 이루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의 농촌개발 방식은 농업소득 보전을 목표로 하는 농촌개발 방식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간의 각종 농촌개발과 관련된 많은 사업들이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1990)의 시행 등과 같이 일부 제도화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1991년 지방자치제도를 통해 실질적인 지역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개발계획 수립기회가 제공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농업ㆍ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주목하여 생산주의적 농업정책에서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정책으로 농정의 방향전환을 도모하였다(임형백ㆍ이성우, 2004).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내용 3 2) 연구방법 4 제2장 이론적 검토 1. 농촌사회의 변화 7 2. 기존 선행연구 검토 11 1) 농촌마을과 농촌주민 생활상에 관한 연구방법 검토 11 2)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측정 및 향상에 관한 연구 13 3) 농촌 주민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14 4) 농촌지역 또는 농촌주민의 생활실태에 관한 조사항목 검토 17 3. 시사점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2 제3장 분석틀 및 조사대상지역 개요 1. 조사 모형의 정립 24 1) 조사 설계 방향 24 2) 조사부문 및 항목 설정 25 3) 조사ㆍ분석방법 32 2. 조사대상지역의 개요 33 1) 일반 개요 33 2) 인구구조의 변화 37 제4장 충남 농촌 주민의 생활상 분석 1. 농촌 주민의 서비스 수혜 실태 39 1) 주거 부문 39 2) 교통 부문 41 3) 교육 부문 42 4) 보건의료 부문 44 5) 사회복지 부문 45 6) 응급 부문 46 7) 문화여가 부문 48 8) 정보통신 부문 49 2. 농촌 주민의 생활상 분석 50 1) 삶터에서의 주민 생활상 50 2) 일터에서의 주민 생활상 67 3) 쉼터에서의 주민 생활상 88 3. 종합고찰 98 제5장 결 론 1. 요약 및 결과 101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05 참고문헌 참고문헌 106 부 록 부록 1 : 농촌 주민 생활상 연구 조사표 111 부록 2 : 농어촌 서비스 기준 129-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농촌마을-
dc.subject농촌주민-
dc.subject-
dc.subject-
dc.subject.other전략과제-
dc.title충남 농촌 주민 생활상 연구 - 수도작 평야지역 1개 마을을 중심으로 --
dc.type연구보고서-
dc.date.term20110101 ~ 20111231-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20-
dc.date.modifydate2017-08-20-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18309-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전략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