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발전 방안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동호-
dc.date.accessioned2017-08-13T16:31:28Z-
dc.date.available2017-08-13T16:31:2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citation비도서(pdf only)-
dc.identifier.other1510HA046-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41765&seq=1ko_KR
dc.identifier.urihttp://oak.cni.re.kr//handle/2016.oak/3734-
dc.description.abstractⅠ. 서론 · 경쟁의 패러다임이 기업간 경쟁에서 네트워크간 경쟁으로 변화됨에 따라 기업간 상생협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정보통신의 발달, 경제의 지역화 및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개별기업 차원에서의 대응력 약화가 초래됨 - 이에 따라 경쟁력 있는 공급네트워크의 구축이 기업생존에 주요 요소로 부각 - 이를 대중소기업간 네트워크로 국한시킨다면, 글로벌 경쟁시대에는 부품소재 등의 공급을 담당하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대기업의 경쟁력과 지역경제 나아가 국가경제의 발전과도 직결됨 - 이로 인해 경쟁구도가 기업간 경쟁에서 네크워크간 경쟁, 기업생태계간 경쟁 으로 양상이 변화됨에 따라 네트워크 내부 구성원들간 상호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는 추세임 · 관련하여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윌리암슨 교수에 의하면“협력사와의 관계양상과 거래비용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엇갈리며, 위압적 계약관계보다는 신뢰에 기초한 계약이 더 효율적”임을 강조한 바 있음 - 개별기업간 경쟁에서 기업생태계간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생협력을 통해 기업생태계 전체의 펀더멘탈을 강화시켜야만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보장 받을 수 있음을 지적함 · 따라서 기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수직적 관계가 상호협력하여 상호이익을 증진하는 상생 또는 수평적 관계로의 전환이 요구됨 -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가 기존 수직적 갑・을 관계에 기초한 zero-sum게임 에서 수평적 상생협력에 기반한 win-win 관계로의 전환이 시급함 - 즉,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와 자율적 상생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의 토대를 구축해야함을 의미함 · 이러한 현실적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도내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이를 위해 관련 법제 및 기존 시책을 검토하고, 상생협력의 부진원인과 아울러 국내외 상생협력 사례를 통해 시사점 및 벤치마킹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 - 끝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을 위해 첫째, 고질적인 하도급 문제해소, 둘째, 대・중소기업간 선순환구조 정착방안, 셋째, 중소기업의 제품구매 촉진방안, 넷째, R&D개발 및 자금지원 관련 협렵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상생협력 관련 법제 및 추진시책 검토 2 Ⅲ. 상생협력 부진원인 및 국내외 협력사례 5 Ⅳ. 상생협력 방안 12-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대기업-
dc.subject중소기업-
dc.subject상생발전-
dc.subject협력사례-
dc.subject윌리암슨-
dc.subject.other현안과제-
dc.title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발전 방안-
dc.type연구보고서-
dc.date.term20100824 ~ 20100920-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13-
dc.date.modifydate2017-08-13-
dc.identifier.citationurlhttp://www.cni.re.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현안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