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과제 제안대회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충남발전연구원-
dc.date.accessioned2017-08-07T16:30:52Z-
dc.date.available2017-08-07T16:30: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citation비도서(pdf only)-
dc.identifier.other1513SM048-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03358&seq=1ko_KR
dc.identifier.urihttp://oak.cni.re.kr//handle/2016.oak/3071-
dc.description.abstractAgenda 1 충남도민의 행복도 제고 Agenda 2 선순환 지역경제 시스템 구축 Agenda 3 충남의 3대 혁신(3농, 분권, 행정) 실천전략 수립 _ 20 Agenda 4 충남의 사회적경제 육성(협동 조합 등) _ 3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genda 1 충남도민의 행복도 제고 • 충남 도민의 행복지수 측정과 정책연계 방안 • 충남의 문화ㆍ여가 소외계층 정책지원 방안 • 충남의 자살실태와 자살 예방연구 • 충남 공공의료시스템 구축실태와 활성화 방안 • 충남 고령자 교통안전 개선방안 • 충남 도시지역의 삶의 질 향상정책 연구 Agenda 2 선순환 지역경제 시스템 구축 • 지역순환형 산업생태계 구축방안 • 자본 및 임금소득의 지역 내 선순환 방안 • 생산과 소비의 연계 방안 Agenda 3 충남의 3대 혁신(3농, 분권, 행정) 실천전략 수립 _ 20 ➀ 충남 3농혁신의 현재와 미래 - 3농혁신의 실효성 제고 방안 도출 ➁ “충남형 주민자치”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Agenda 4 충남의 사회적경제 육성(협동 조합 등) _ 32 • 사회적경제조직으로서 협동조합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Agenda 5 충남의 미래와 지속가능한 발전 _ 37 •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한 공동체 지향적 농촌사회 건설 방안 • FTA의 영향과 충남의 대응방향 • 충청권 메가프로젝트가 지역구조에 미치는 영향 • 지역격차 실태 및 변화예측과 공동발전 방안 • 기후변화에 대응한 충남의 재지역화 및 회복력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 화력발전소에 의한 환경 및 경제적 피해 실태 및 전망 • 생물자원전쟁에 대응한 충남의 생물다양성 증대 방안 • 충남 연안환경의 변화실태와 지속가능한 개발방향 Agenda 6 충남 현안 정책 대응 _ 46 • 충청남도의 내발적 발전을 위한 물 자치권 확립방안 연구 • 충남 지역 관광커뮤니티비즈니스(TCB) 육성 방안 • 내포신도시 광역도시권의 형성 및 발전 방안 • 지역상권(전통시장과 중심시가지)의 복합적 활성화 방안 연구 •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저감 방안 연구 • 충청남도 시군의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내발적-
dc.subject지역순환-
dc.subject사회적경제-
dc.subject.other연구조성-
dc.title2013년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과제 제안대회-
dc.type학술발표자료-
dc.date.term20121211 ~ 20121211-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06-
dc.date.modifydate2017-08-07-
dc.identifier.citationurlhttp://www.cni.re.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조성 > 기타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