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76호-[충남논단1]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지훈 | - |
dc.date.issued | 2016 | - |
dc.identifier.citation | 비도서(pdf only) | - |
dc.identifier.other | 1516E1141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41039&seq=1 | ko_KR |
dc.description.abstract | 들어가면서 마을기업 제도는 희망근로와 같은 일자리 창출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지원정책 중 하나였지만, 2010년 이후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진화하면서 지역공동체 회복과 마을 주민중심의 경제활동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전대욱(2016)에 따르면, 마을기업 제도는 지역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과 마을공동체 활성화라는 행정자치부 고유의 미션과 정책적 지향점에 따라 다른 공동체 지원정책과 차별화된 것으로 본다. -이후 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들어가면서 -마을기업 지원정책과 제도 -충청남도 마을기업의 실태와 문제점 -예비마을기업제도의 운영현황과 필요성 -예비 마을기업 제도의 도입방향 -나가며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 | 76호 | - |
dc.subject | 충남논단1 | - |
dc.subject | 예비 | - |
dc.subject | 마을 | - |
dc.subject | 기업제도 | - |
dc.subject.other | 출판-열린충남 | - |
dc.title | 열린충남 76호-[충남논단1]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 - |
dc.type | 간행물 | - |
dc.date.term | 20160901 ~ 20160901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7-11-08 | - |
dc.date.modifydate | 2019-08-05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www.cni.re.kr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