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170호-과소화ㆍ고령화된 농촌마을, 유형별 재편이 필요하다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영재-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citation359.0175 충211ㅊ-
dc.identifier.other1515E1066-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20600&seq=1ko_KR
dc.description.abstract● 농촌지역은 심각한 과소ㆍ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농촌 커뮤니티(공동체)의 상실 및 마을 소멸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대안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되고 있는 실정임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소ㆍ고령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유형별 재편 방안을 제시함 - 커뮤니티 연합 또는 통합(유형①) : 비슷한 여건의 여러 마을을 묶어 커뮤니티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으로, 기존 각 마을 리더들의 협력을 통해 커뮤니티를 운영 하거나 새로운 리더 선출을 통해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방식이 있음- 행정구역 합병 또는 편입(유형②) : 2개 이상의 마을을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합병하거나 상대적으로 여건이 우수한 마을에 그렇지 못한 마을을 편입시켜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이는 행정 효율성 제고도 가능함- 마을 리모델링 및 커뮤니티 재편(유형③) : 마을 일부 리모델링을 통해 커뮤니티를 재구성하거나 전면 재개발을 통해 전혀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이는 외부 인구 유입을 전제로 함- 집단 이전 또는 일부 이전(유형④) : 마을 전체 또는 특정 주민(케어가 필요한 고령자 등) 일부가 새로운 공간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최근 ‘공동홈조성사업’ 등이 본 유형에 해당됨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농촌마을 재편의 필요성 2. 농촌마을 재편의 기본원칙 3. 농촌마을 재편의 추진유형 4. 유형별 재편방안 5. 정책 제언-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과소화-
dc.subject고령화-
dc.subject농촌마을-
dc.subject유형별-
dc.subject재편-
dc.subject.other출판-충남리포트-
dc.title충남리포트-170호-과소화ㆍ고령화된 농촌마을, 유형별 재편이 필요하다-
dc.type간행물-
dc.date.term20150605 ~ 20150605-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11-08-
dc.date.modifydate2019-08-05-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0217-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간행물 > 충남리포트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