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73호-걷고 싶은 거리조성을 통한 도심녹지체계 확보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사공정희-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citation359.0175 충211ㅊ 73-
dc.identifier.other1512E1016-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17884&seq=1ko_KR
dc.description.abstract● 우리나라는 지난 1970년대 이후 시가지 확장에 따른 녹지공간의 양적 감소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지금까지도 시가지 외곽에는 각종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향후 도시녹지의 감소는 훨씬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이미 국내ㆍ외에서는 녹지체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녹지체계구축은 도심 내ㆍ외곽 야생 동ㆍ식물의 순환을 위한 이동통로 제공 및 서식환경 개선 뿐 아니라 도시민의 휴양공간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Harris, 1984-
dc.description.abstractWilcox et. al., 1985-
dc.description.abstractBrown et. al., 1991, Jongman and Pungetti, 2004). ● 지금까지 실현된 해외의 유명녹지체계를 살펴보면, 공원녹지체계로 유명한 보스톤의 경우 점적 단위시설 차원으로 인식되었던 공원을 도시 전체의 차원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김귀곤, 1994). 또한 훌륭한 가로체계로 공원들을 결합한 캔사스(오병태와 최기호, 1996)시는 공원과 이들을 연결하는 공원도로뿐 아니라 광장을 비롯한 주요지점들을 포함하여 도시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환경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도시성을 강하게 표현하였으며, 동경의 경우는 수계축을 이용한 녹지체계를 형성하였다(서울연구원, 1997).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녹지체계 도입 및 보행공간으로의 활용 2. 보행공간조성 및 보행활동증진 조건 3. 녹지체계와 보행공간 통합을 위한 과제 4. 보행공간을 반영한 녹지체계 유도 방법 5. 실천방안 및 과제-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거리조성-
dc.subject도심-
dc.subject녹지체계-
dc.subject보행공간-
dc.subject.other출판-충남리포트-
dc.title충남리포트-73호-걷고 싶은 거리조성을 통한 도심녹지체계 확보-
dc.type간행물-
dc.date.term20121128 ~ 20121128-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11-08-
dc.date.modifydate2019-08-05-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18845-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간행물 > 충남리포트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