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GEN AU - 김경태 DA - 2012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1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2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3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4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5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6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7 UR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37958&seq=8 UR - http://oak.cni.re.kr//handle/2016.oak/3643 AB - 1) 연구의 배경 ?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 ? 본 계획은 행정안전부의 2011년도 생활형 지역공공디자인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공주시 C3 Space Design Plan 옛 읍사무소 건물에 문화적 공동체 공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서 지역의 문화발전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 또한 관광객의 교육수준 및 생활수준 상승에 따라 문화욕구가 증대되고 다양화되고 있으며, 지역문화에 대한 지역주민의 긍지와 자부심이 증대되고 있다. ? 특히, 공주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문화유산 및 근대 문화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역사자원 가치 상승에 따라 지속적인 보존이 요구되고 있으며 타 지역과의 차별화된 문화로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 역사적 가치가 높은 산재된 문화자원에 대한 계획 ? 그러나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은 축적된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타 유사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 되었으며, 문화시설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정비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 이에 따라 지역의 문화시설은 유기적인 관계를 갖지 못한 채 독자적으로 산재해 있으며 문화시설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시민들의 생활환경, 문화 환경 저변 확대 등의 정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 문화자원의 통합 관리 필요 ? 공주시에 산재해 있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한 광역적인 측면에서 문화의 기능, 경관 및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또한 지역전체의 문화적 필수 인프라에 대한 계획과 적극적인 활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고려돼야 하고 지역 내 문화공연, 전시뿐만 아니라 공간 자체가 문화콘텐츠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시설의 배치 또한 중요하다. ? 이러한 관점에서 공주시의 문화자원 및 문화시설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 하고 대중의 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문화 발전을 통한 문화경쟁력 강화를 위해 문화생태지도 작성이 필요하다. ? 또한 문화생태지도 작성을 통하여 지역민의 문화적 욕구, 문화소비계층 조사, 인구층의 변화, 문화활동 등의 조사를 통하여 가장 필요한 문화요소를 파악하여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 국가 및 지역단위의 문화발전계획 수립 ? 중앙정부는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거나 지방의 시설을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문화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 지자체에서도 지역문화의 잠재역량을 조사?발굴하여 지역민과 더불어 개발?활용하기 위한 실천방안 차원의 종합적인 지역문화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 이에 따라 공주시에서도 지역민의 문화수요 부응과 문화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문화발전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2) 연구의 목적 ? 문화콘텐츠가 없는 평면적인 개발방향에서 탈피하여 생활공간과 지역의 문화콘텐츠가 강하게 결속된 새로운 개념의 문화생태계 구축을 도모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가 갖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광의의 목적은 지역문화 이해를 통해 역사?문화 정체성을 확립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며, 협의의 목적은 지역 내 문화자원, 활동, 관련 경험 들을 기록?정리하여 지역이 가진 고유성과 이미지를 발굴하는데 있다. - 둘째,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콘텐츠, 문화전달 플랫폼, 문화 터미널, 문화 클러스터와 같은 새로운 개념을 마련하고자 한다. - 셋째, 이를 바탕으로 공주시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이미지에 따라 기존 문화적 이미지의 ‘강화’, 부정적 이미지의 ‘개선’, 새로운 이미지의 ‘창출’을 위한 문화 자원 및 시설 개발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방안을 마련한다. - 이후 생략 LA - KO PB - 충남발전연구원 KW - 공주 KW - 문화 KW - 생태지도 TI - 공주 문화생태지도 연구용역 ER -